기존 검색·챗봇 사업을 기반으로 2025년부터 AI 에이전트 전문기업으로 본격적인 성장을 시작할 것으로 기대
공공기관 중심의 높은 시장 점유율과 수주잔고 확대는 긍정적이나, 신제품 개발을 위한 연구개발비 증가는 단기적 부담 요인
자체 개발 LLM(거대언어모델)과 AI 에이전트 플랫폼 등 신제품 출시를 앞두고 있으며, 2025년 3분기에 주요 파이프라인이 집중
신제품 수요 증가로 2025년 하반기 파이프라인(예상 계약 규모)이 377억 원에 달하며, 이 중 생성형 AI 프로젝트 비중이 70%를 차지
정부의 AI 산업 육성 정책에 따른 수혜가 기대되는 토종 AI 솔루션 기업
경쟁 심화와 개발비 부담으로 수익성은 하락 추세이며, 높아진 기대를 실적으로 증명할 필요
손익계산서 |
---|
재무상태표 |
현금흐름표 |
펀더멘탈/밸류에이션 |
원하는 기업 찾기
검색된 기업 0개 | 현재가 | 변동율 | 시가총액(억)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