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자의견 'Buy'를 유지하고, 신약 파이프라인 가치 상향을 반영해 목표주가를 440,000원으로 22% 상향 조정
연내 파트너사 MSD의 MASH 2상 데이터 발표가 가장 강력한 단기 모멘텀이며, 2026년부터는 비만 신약의 기술수출 성과 기대
투자의견 'BUY'와 목표주가 380,000원을 유지하며, 비만 치료제 외에 새롭게 부상하는 항암 신약 파이프라인의 잠재력에 주목
EZH1/EZH2 이중 억제제(HM97662)와 MAT2A 억제제(HM100760) 등 '합성 치사' 기전을 활용한 차세대 항암제 개발이 순조롭게 진행 중
투자의견 '매수' 유지, 목표주가 400,000원으로 상향 조정하며 비만·MASH 파이프라인의 R&D 모멘텀에 주목
2026년 머크에 기술이전한 신약 및 자체 개발 신약의 MASH 임상 결과 발표가 핵심 R&D 모멘텀으로 작용할 전망
2026년 비만 치료제 '에페글레나타이드' 출시를 통해 국내 시장의 유일한 후발주자(Second player)로 진입, 가격 경쟁력을 바탕으로 높은 성장이 기대됨
MASH 치료제, 근육 보존제 등 유망한 신약 파이프라인의 가치가 부각되고 있으며, 자회사 북경한미의 실적 턴어라운드도 본격화될 전망
2025년 2분기 실적은 북경한미의 영향으로 소폭 감소가 예상되나, 3분기부터는 실적 턴어라운드가 전망됨
투자의견 'BUY'와 목표주가 400,000원을 유지하며, 하반기에도 지속적인 R&D 모멘텀(연구개발 동력)이 기대됨
2분기 실적은 중국 자회사(북경한미) 부진으로 시장 기대치를 하회했으나, 투자의견 '매수'와 목표주가 340,000원은 유지
R&D 파이프라인 기대감은 유효하나, 단기 실적 불안정성이 존재하여 하반기 북경한미의 실적 회복 여부가 주가 반등의 핵심
투자의견 '매수' 유지 및 목표주가 370,000원으로 상향, 고마진 제품 판매 호조에 따른 이익 개선 전망
비만 치료제 국내 임상 3상 등 핵심 R&D 파이프라인이 순조롭게 진행 중이며, 연내 주요 데이터 발표 기대
손익계산서 |
---|
재무상태표 |
현금흐름표 |
펀더멘탈/밸류에이션 |
원하는 기업 찾기
검색된 기업 0개 | 현재가 | 변동율 | 시가총액(억)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