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분기 실적은 H&B 사업부의 음료 리콜 이슈로 일시적 부진을 겪었으나, 주력 제품인 케이캡의 견조한 성장으로 연간 실적 성장성은 유효
하반기에는 케이캡의 유럽 판권 계약 및 미국 FDA 허가 신청 등 주요 모멘텀과 더불어, 백신 유통에 따른 추가 이익이 기대됨
하반기 유럽 케이캡 기술수출 및 미국 신약허가신청(NDA) 제출 등 글로벌 모멘텀을 통한 주가 반등 기대
2분기 실적은 컨센서스를 소폭 밑돌았으나, 백신 유통 계약 성공으로 연간 영업이익 전망치는 상향 조정
2Q25 영업이익은 음료 회수 영향으로 컨센서스를 하회했으나, 주력 품목 케이캡의 고성장으로 성장세는 지속
음료 사업 부진은 대규모 코로나 백신 공급 계약으로 상쇄될 전망이며, 케이캡의 글로벌 임상 및 허가 절차가 핵심 성장 동력
2분기 영업이익은 일회성 비용으로 시장 기대치를 하회했으나, 하반기 코로나19 백신 매출 등이 반영되어 연간 영업이익 추정치는 14% 상향 조정
'매수' 의견과 목표주가 7만 원을 유지하며, 하반기 핵심 품목 케이캡의 미국 품목허가 신청 및 유럽 기술 수출 등 해외 진출 모멘텀에 주목
2Q25 실적은 ETC 부문 성장에도 HB&B 부진으로 영업이익이 시장 기대치를 하회했으나, 목표주가 58,000원과 투자의견 '매수'는 유지
하반기 COVID-19 백신 유통 계약과 케이캡의 중국 로열티 증가 및 미국/유럽 진출 기대로 실적 개선 전망
2분기 실적은 케이캡의 견조한 성장으로 매출은 예상을 웃돌았으나, 외주 생산 이슈로 인한 HB&B 사업부 부진으로 영업이익은 기대치를 하회
하반기에는 HB&B 사업 정상화와 함께 케이캡의 미국 FDA 승인 신청, 유럽 기술이전 등 핵심 성장 동력에 대한 기대감이 유효
2분기 실적은 음료 리콜 영향으로 시장 기대치를 하회했으나, 하반기 주력 제품 케이캡의 성장과 R&D 모멘텀은 유효
투자의견 '매수'를 유지하고, 연간 실적 전망치 조정을 반영해 목표주가를 65,000원으로 상향
2Q25 영업이익은 음료 사업 부진으로 기대치를 하회했으나, 주력 제품 '케이캡'의 국내외 성장과 코로나 백신 계약으로 실적 개선 기대
'케이캡'의 미국 신약 허가 신청 및 유럽 기술수출 등 해외 확장 모멘텀이 유효해 목표주가를 53,000원으로 상향 조정
2분기 실적은 음료 회수 이슈로 일시적 부진을 겪었으나, 하반기 회복이 기대됨
주력 제품 케이캡의 성장과 코미나티주 이익 기여로 '매수' 의견과 목표주가 61,000원을 유지
(분기, 단위: 억 원) |
---|
손익계산서 |
매출액 |
영업이익 |
순이익 |
지배주주순이익 |
영업이익율 |
순이익율 |
재무상태표 |
부채총계 |
자본총계 |
부채비율 |
현금흐름표 |
영업현금흐름 |
잉여현금흐름(FCF) |
펀더멘탈/밸류에이션 |
ROE |
원하는 기업 찾기
검색된 기업 0개 | 현재가 | 변동율 | 시가총액(억) |
---|